web.xml 파일을 통한 에러 페이지 지정 Servlet 또는 JSP에서 catch 하지 않은 Exception 또는 HTTP Error를 처리할 페이지를 지정함web.xml 페이지를 이용하여 에러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음. $CATALINA_HOME/conf/web.xml은Tomcat 서버전체에대한에러페이지설정가능 - 에러페이지(location)는webapps/ROOT를기준으로경로지정 ContextRoot/WEB-INF/web.xml은응용별로에러페이지설정가능 - 에러페이지는ContextRoot를기준으로경로지정 실습 필요 사항 : 1. generror.jsp2. process_error.jsp 3. ContextRoot/WEB-LNF/web.xml generror.jsp 123456789101112..
Servletservlet이란 서버에서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에서 웹 페이지와 함께 별도의 파일로 보내지는 작은 프로그램인 자바 애플릿의 맥락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자바 애플릿들은 사용자를 위해 간단한 계산업무를 수행하거나 사용자의 반응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위치시키는 등과 같은 서비스를 위해 대개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도록 만들어진다. - 웹서버에서 실행되는 자바클래스(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 main()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신 service()가 호출된다. => 두 개의 파라미터를 받아들인다. ( request, response )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할 수 있다. -서블릿 요청과 응답과정 1.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 객체 생성 유무 파악 C..
BeagleBone 블랙 내장 LED각 LED 정보BeagleBone에는 4 개의 user LED가 있습니다. 이것들을 수정할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각각 고유 한 목적이 있습니다. USER0는 오른쪽 그림의 맨 위에 가장 가깝고 USER3은 가장 가까운 이더넷 포트입니다. USER0은 Linux 커널의 하트 비트 표시기입니다.USER1은 SD 카드에 액세스 할 때 켜집니다.USER2는 활동 표시기입니다. 커널이 유휴 루프에 있지 않을 때 켜집니다.온보드 eMMC에 액세스 할 때 USER3이 켜집니다.LED의 동작은 이 위치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sys/class/leds/beaglebone\:green\:usr0/ /sys/class/leds/beaglebone\:green\:usr1/ /sys/..